일반적으로 택배의 배송 정보는 문자 메세지로 확인하기 때문에 문자 메세지에 포함되어 있는 악성 URL 을 클릭하여 스미싱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한다. 스미싱의 내용을 살펴보면 단순 명료하기 때문에 보안에 관련된 지식이 없으면 이러한 스미싱에 속아서 개인 정보를 도용당하거나 금전적 피해를 보기 십상이다. 앞으로도 이러한 형태의 공격은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.
[상세분석]
1. SMS수신 시 보낸 사람의 전화 번호와 문자 내용, 수신 날짜를 탈취한다.
2. 탈취한 SMS를 C&C로 전송한다.
'보안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코로나19 바이러스' 이슈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주의 (1) | 2020.03.11 |
---|---|
당신의 코인은 안전합니까? (2) | 2018.04.12 |
MBR을 파괴하는 랜섬웨어 (0) | 2018.04.11 |
북한기도(NKPrayer) 악성앱 주의 (1) | 2018.02.07 |
모네로(XMR) 가상화폐 채굴 악성코드 감염 주의 (0) | 2018.02.06 |